About Me
안녕하세요, 사람을 위한 기술을 고민하는 백엔드 엔지니어 김혜인입니다.
좋아 보이는 기술보다 필요한 기술, 내가 하고 싶은 개발보다 사람에게 닿는 개발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Ruby on Rails와 Spring Boot 기반의 웹 서비스를 구축해왔으며,
다양한 협업 환경에서 기획자, 디자이너, QA와 함께 문제 해결 중심의 개발 문화를 경험해왔습니다.
최근에는 DevOps와 클라우드 인프라 영역에 깊이 있는 관심을 가지고 학습 중이며,
Linux, Network, AWS, Terraform을 중심으로 서비스 운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함께 일하고 싶은 개발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화에 유연하고, 배움에 열려 있으며,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소중히 여깁니다.
My Journey
컴퓨터공학과
성신여자대학교
2018 - 2022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며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기초 지식을 쌓았습니다. Java와 Spring Boot를 활용한 웹 서비스 개발, Jenkins와 Docker를 이용한 CI/CD 구축 등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개발 역량과 협업 능력을 키웠습니다.
Backend Engineer
잡플래닛
2022 - 2024
잡플래닛의 채용 서비스 개발팀에서 Ruby on Rails 기반의 백엔드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CRM 기능 고도화(SendGrid, Braze 연동), Vue.js를 활용한 내부 어드민 페이지 개발, 채용 공고 구조 리팩토링, API 설계 및 성능 개선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My Project
01
맛동산
Web, iOS
Backend Developer

제철 음식을 공유하고 기록할 수 있는 아카이빙/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Spring Boot 기반의 REST API 서버와, Terraform/Flyway를 통해 인프라와 마이그레이션을 코드로 관리하는 인프라를 분리하여 설계했습니다.
EC2, RDS, S3 등 AWS 환경 위에 직접 인프라를 구성하고, Terraform으로 코드화했으며, Flyway 기반의 DB 마이그레이션 자동화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GitHub Actions 기반의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하였습니다.
02
Hyein Kim
Web
Frontend Developer

Next.js App Router 기반의 구조로 구성하고, Framer Motion과 GSAP의 ScrollTrigger 기능을 활용해 섹션별 인터랙션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했습니다. Lenis 기반의 스무스 스크롤, 섹션 고정 및 수평 이동 등의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흐름과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03
수정광산
iOS, Android
Backend Team Leader, Backend Developer

성신여자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정회원 인증 시스템을 기반으로, 게시판/게시글/댓글, 좋아요 및 스크랩 기능, 포인트 기반의 티어 시스템 등 커뮤니티에 필요한 핵심 기능들을 설계하고 구현했습니다.
AWS 기반의 배포 환경과 CI/CD 자동화(Jenkins + Docker)도 직접 구축했습니다.
04
스토리지
iOS
Backend Developer

2021 원티드 '해,커리어' 예선 진출 (상위 50개팀)
대학생을 위한 경험 정리 아카이빙 서비스입니다.
경험을 ‘프로젝트 > 페이지’ 구조로 분류하여 정리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경험을 탐색하고 좋아요로 반응할 수 있는 소셜 성격의 아카이빙 서비스입니다
NestJS 기반의 API 서버를 구축하고, GitHub Actions와 AWS CodeDeploy를 연동하여 배포 자동화 환경을 구성했습니다.
05
띵-동
Android
Team Leader, Backend Developer

2021 원티드 '해,커리어' 예선 진출 (상위 50개팀)
1인 가구를 위한 지역 기반 식품 및 생필품 나눔 플랫폼입니다.
동네 인증, 실시간 채팅을 통한 거래 약속, 나눔 후 평가 시스템 등 신뢰 기반의 거래 흐름을 고려한 기능들을 기획하고 직접 구현했습니다.
Spring Rest Docs를 활용해 API 문서를 작성하고, AWS EC2를 활용한 서버 운영을 담당했습니다.




















